과학수사

지문 감정

지문감정
지문감정
지문감정
  • 범죄 현장에서 채취된 지문을 DB지문과 매칭하여 지문의 신원을 확인
  • 대형 사건・사고의 신원 불상자 및 피해자의 신속한 신원 확인
지문 자동 검색 시스템 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
지문감정

DNA

DNA
  • 2010. 7. 26, DNA법(디엔에이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) 시행, 살인, 강도 등 11개 유형 범죄자 DNA 채취, DB 구축
  • 범죄현장의 용의자 DNA와 DB 대조, 신원 확인 고도화

족적・윤적

족적・윤적
족적・윤적
족적・윤적
  • 범죄현장에 남은 신발 및 타이어 흔적을 수집, 전산입력된 신발·타이어 문양을 이미지 형태로 현출시켜 현장의 족・윤적과 비교·확인
족・윤적 감정 시스템 Footwear impression & Tire imprint Identification System
족적・윤적

혈흔형태 분석

혈흔형태 분석
혈흔형태 분석
혈흔형태 분석
  • 범죄현장에 유류된 혈흔의 크기, 모양, 위치를 분석하여 혈액의 출발점과 움직임 등을 판단함으로써 범행 당시 일련의 행위를 재구성하기 위한 기법
  • ※ 이태원 살인사건, 춘천 형제 살인사건 등에서 전문수사관이 작성한 혈흔형태분석 결과보고서를 증거로 채택
혈흔형태 분석
화재 감식

화재 감식

화재 감식
화재 감식
화재 감식
  • 화재 발생시 사고 원인 분석 및 증거 수집 등을 위해 화재전문요원이 현장 감식, 현장 관찰, 발굴・복원, 증거물 확보 등을 통해 화재 원인 규명
화재 감식
화재 감식

수중 과학수사 / 체취 증거팀

수중 과학수사 / 체취 증거팀
수중 과학수사 / 체취 증거팀
수중 과학수사 / 체취 증거팀
  • 내・해수면 현장에서 범죄현장을 보존하고 피해자 및 증거물 인양・보존을 통한 증거물 객관성 확보 등을 위한 과학수사 활동
  • 체취견의 발달된 후각을 활용, 용의자 추적 및 실종자 및 유기 시신 수색 등 활동
수중과학수사
수중 과학수사
체취 증거팀
체취 증거팀

영상 분석

영상 분석
영상 분석
영상 분석
  • 사진, CCTV, 블랙박스 등 범죄수사와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자료의 화질 개선, 조작 여부, 동일인 여부, 문자 또는 물체 등의 식별, 계측 및 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분석 및 감정을 수행
CCTV 영상 분석
영상 분석

법보행 분석

법보행 분석
법보행 분석
법보행 분석
  • 용의자의 걸음걸이와 CCTV에 촬영된 범인의 걸음걸이 패턴을 의학·공학적으로 분석하여 동일인 여부를 판단하는 기법
법보행 분석
법보행 분석

문서 감정

문서 감정
문서 감정
문서 감정
  • 문서 또는 유가증권의 위조 및 변조 여부 등을 식별하거나 육안으로는 판독 불가능한 문서의 내용을 검출 해독하기 위해 과학적인 실험 및 관찰을 통해 분석, 검사, 감정

폴리그래프

폴리그래프
폴리그래프
폴리그래프
  • 피부 전기 반응, 호흡, 심장혈관 활동 등 3가지 이상의 생리적 현상을 동시에 기록하는 장치로, 피검사자의 심리적 동요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해석하여 진술의 진위를 추론
바이브라이미지 폴리그래프

시각화된 이미지를 통해 거짓말을 하는 대상자에게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중요 질문을 할 수 있게 도와줌.

바이브라이미지 폴리그래프
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  • 법최면 : 최면으로 사건 관련 피해자나 목격자 등의 기억을 되살려 사건의 단서・증거 수집 및 수사를 지원하는 활동 (몽타주 작성 전 기억 증진)
  • 몽타주 : 목격자 및 피해자의 진술을 토대로 범인의 모습과 비슷한 눈, 코, 입 등 자료를 합성하여 범인의 모습과 유사하게 특징을 찾아서 그린 얼굴 사진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법최면/몽타주(Montage)

프로파일링

프로파일링
프로파일링
프로파일링
  • 발생사건·미제사건 등 범죄현장의 행동분석 및 재구성을 통한 용의자군 추정, 우선수사 범위 및 탐문, 효과적 신문전략 수립 등 지원
  • 체계적인 수사자료 구축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범죄자 유형추론, 사건연계성파악, 분석자료 활용을 통한 범인 검거, 심문전략 제시 등 수사지원활동
  • 범죄행동의 근본적인 동기와 원인을 밝히고, 용의자 유형(type) 추정
  • 범행도구나 소유물의 심리학적 의미를 파악
  • 용의자의 신문과정에서 수사관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정보제공